기타

문체부, '핸들링→손반칙' 등 체육 분야 우리말 용어 마련

일병 news1

조회 577

추천 0

2020.12.18 (금) 09:47

                           


문체부, '핸들링→손반칙' 등 체육 분야 우리말 용어 마련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체육 분야에서 쓰이는 불필요한 외국어, 일본식 한자어 등을 정비하기 위해 문체부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 7월부터 전문용어표준화협의회 전문소위원회를 꾸려 민간 전문가 등과 함께 축구, 야구, 배구, 농구, 골프 등의 종목에서 쉬운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는 용어를 마련했다.

대체 용어는 관련 협회와 중계방송 진행자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거쳐 수용성이 높은 단어를 우선으로 선정했다.

예를 들면 일본식 한자어와 일본식 영어에서 유래한 단어인 '시합'을 '경기 또는 겨루기'로, '계주'는 '이어달리기'로, '핸들링'은 '손 반칙'으로 정비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또한 '퍼블릭 코스, 터치라인, 블로킹, 패스트 볼' 등은 '대중 골프장, 옆줄, 가로막기, 빠른 공' 등으로 정비했다.

아울러 '용병'과 같은 차별적이고 품격이 낮은 단어를 '외국인 선수'처럼 중립적 표현으로 바꾸는 내용도 포함된다.

문체부는 내년 초 국어심의회 심의를 거쳐 고시를 추진하며 지도서, 훈련서, 경기 규정 등에 반영하고 언론에서도 대체 용어가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홍보할 계획이다.

문체부, '핸들링→손반칙' 등 체육 분야 우리말 용어 마련

[email protected]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신고를 접수하시겠습니까?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