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단독] 문체부, 양해영 전 KBO 총장 검찰 수사의뢰 검토

일병 news1

조회 569

추천 0

2018.04.03 (화) 11:00

                           


 
- 문체부, '대한야구협회 비자금 조성과 횡령 의혹건' 관련해 검찰 수사의뢰 검토 중
TF 관계자 "수사의뢰한다면 양해영 전 KBO 사무총장이 핵심 조사 대상 될 것"
명백한 증거와 확실한 증인이 있는데도 이를 묵살하고 '혐의없음' 처리했던 검찰
"김기춘이 자신의 의원 보좌관이던 양해영을 살리려고 검찰에 압력을 넣었다는 소문 파다했다."
 
[엠스플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KBO(한국야구위원회) 양해영 전 사무총장에 대해 검찰 수사 의뢰를 검토 중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체육 정상화 특별전담팀(TF)’에서 활동했던 한 관계자는 4월 2일 엠스플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TF에서 ‘대한야구협회(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비자금 조성과 횡령 의혹건’을 조사했다”며 “문체부가 TF의 조사내용과 여러 정황을 종합 고려해 이 건을 검찰에 수사 의뢰할 예정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문체부 TF에서 조사한 ‘대한야구협회 비자금 조성과 횡령 의혹건’은 2009년 9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협회 주요 인사들이 공모해 차명 계좌를 만들고, 이 계좌를 통해 횡령 및 배임으로 의심되는 자금거래를 100여 차례 넘게 했다는 의혹이다. 
 
2016년 3월 협회는 이 사실을 알고서 당시 협회 임원이던 윤00 이사, 김00 부회장과 전(前) 직원인 이00 전 사무국장, 윤00 전 운영부장 등을 ‘협회 재산을 임의로 소비하거나 횡령한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차명계좌 입출금 내역서가 존재하고, 피고소인들의 횡령 행위를 고발한 증언자를 확보한 까닭에 협회는 전·현직 임직원들의 비자금 조성 경위와 횡령 혐의가 투명하게 밝혀지리라 기대했다. 하지만, 결과는 반대였다.
 
경찰은 소극적 수사로 일관했고, 협회가 제시하는 결정적 증거를 제대로 살피지도 않았다. 검찰 역시 수사를 차일피일 미루다 결국 이 건을 ‘혐의없음’으로 종결했다. 이 통에 ‘대한야구협회 비자금 조성과 횡령건’은 흐지부지 덮어지고 말았다.
 
경찰, 검찰이 흐지부지 종결했던 ‘대한야구협 비자금 조성과 횡령 의혹건’. 국회의원의 노력으로 다시 진실의 수면 위로 오르다.
 


 
진실의 수면 아래로 잠겼던 ‘대한야구협회 비자금 조성과 횡령 의혹건’이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온 건 2017년 10월 30일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손혜원 의원(마포을) 덕분이었다.
 
이날 국회 교문위 국정감사에서 손 의원은 “대한야구협회 차명계좌 입출금 내역서를 확보했다”며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다양한 경로를 통해 2억 9,000여만 원의 돈이 차명계좌를 통해 수시로 들어갔다 빠져나간 정황이 드러났다”고 폭로했다.
 
손 의원의 폭로는 이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손 의원은 “2015년 내부고발로 수사가 진행됐으나 관련 실무자에 대한 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은 채 사건이 덮였다는 의혹이 있다”며 “이른바 ‘김기춘 라인’으로 분류되는 KBO 양해영 사무총장이 관련된 건이라, 수사가 흐지부지 끝난 게 아니냐”는 추가 폭로를 했다.
 
손 의원이 이 사건과 관련해 '양해영'이란 이름을 거론하자 야구계 일부에선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도 그럴 게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양 전 총장은 KBO 사무차장으로 일하면서 대한야구협회 특임이사를 함께 맡았다. 특임이사는 KBO가 대한야구협회로 보내는 수십억 원대의 지원금을 관리·감독 하는 역할이다.
 
대한야구협회 나진균 전 사무국장은 "증거가 명백하고, 증인이 있는데도 경찰과 검찰은 피고소인들의 이야기만 들었다. '누군가'의 압력 때문인지 이 건만 유독 검사가 7차례나 바뀌는 등 심한 우여곡절을 겪다가 결국 사건 자체가 유야무야 끝났다. 그간 야구계에선 손 의원의 지적대로 ‘국정농단의 주범인 김기춘이 자신의 의원보좌관 출신인 양해영을 보호하려고 검찰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소문이 파다했다”고 털어놨다.
 


 
현재 문체부는 TF의 조사를 바탕으로 이 사건을 검찰에 수사 의뢰할지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몇몇 의혹과 관련해 철저한 사실규명을 하려면 검찰 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TF에 참가했던 한 인사는 "TF에서 차명계좌 입금내역서와 관련자들의 진술은 확보하였으나, 이 돈의 사용처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했다. 얼마나 이 돈이 ‘윗선’으로 흘렀는지도 좀 더 들여다봐야 한다"며 "수사권이 없는 TF의 한계를 고려할 때 나머지 의혹은 검찰 수사를 통해 투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많은 야구인은 “검찰이 철저하게 수사한다면 '대한야구협회 비자금 조성과 횡령 의혹건' 뿐만 아니라 투명하지 못했던 KBO 자금 집행, 촌지 살포, 각종 이권 개입 여부와 관련해서도 더 큰 진실을 파헤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BO 사무총장 임기는 끝났지만, 양해영 전 총장을 둘러싼 진실의 유통기한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배지헌, 김근한 기자 [email protected]

+ 제보를 받습니다. 삼성과 빙상연맹의 관계에 대해 제보해주실 분은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으로 연락주십시오. 


ⓒ <엠스플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신고를 접수하시겠습니까?

이전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