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평창올림픽 1년] ③올림픽 유산 경기장 시설 활용 여전히 숙제

일병 news1

조회 659

추천 0

2019.02.06 (수) 07:23

                           


[평창올림픽 1년] ③올림픽 유산 경기장 시설 활용 여전히 숙제

가리왕산 복원 vs 존치 쟁점…전문체육시설 기념재단 설립 관리



[평창올림픽 1년] ③올림픽 유산 경기장 시설 활용 여전히 숙제

(춘천=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역대 최고의 찬사를 받았던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동계패럴림픽이 9일 1주년을 맞지만, 경기장 사후활용은 여전히 쟁점 현안이다.

3수 도전 끝에 올림픽 역사상 가장 훌륭한 대회로 평가받았으나 사후활용 해법을 찾지 못해 올림픽 후유증에 빠져있다.

올림픽 기간 알파인 경기를 치른 정선 가리왕산 생태복원 문제는 존치와 복원 갈림길에 선 가운데 복원 반발 수위는 최고조에 달했다.

3개 전문 체육시설은 사후활용 계획을 여전히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관리 주체를 확정한 경기장도 제대로 된 활용방안이 없어 방치나 다름없다.

올림픽 레거시 사업도 답보상태다.

한반도 평화 시발점이 된 개폐회식장은 대부분 철거된 가운데 남은 본관 건물을 활용, 올림픽 평화기념관 건립사업을 추진 중이나 지지부진하다.

정부가 뒤늦게 올림픽기념재단을 설립, 시설관리와 재정지원을 하기로 하고 용역을 추진 중이어서 운영방식과 지원 규모가 결정될 용역 결과에 관심이 쏠려있다.



[평창올림픽 1년] ③올림픽 유산 경기장 시설 활용 여전히 숙제

◇ 2천64억원 투입 알파인경기장 존치·복원 충돌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센터는 포스트 올림픽 최대 이슈로 급부상했다.

복원과 존치를 두고 여전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강원도와 정선 주민들은 올림픽 레거시인 만큼 합리적 존치 또는 조건부 복원을 통해 지역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도는 이 일대 경기장을 2021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유치 후 활용키 위해 애초 복원에서 경기장 존치 및 2021년 4월 이후 생태복원으로 선회했다.

주민들은 곤돌라(5천124㎡)와 생태도로(2만8천272㎡)만이라도 존치를 요구한다.

반면 산림청과 환경부는 경기장을 산림으로 복원한다는 사회적 약속이 있어 경기장 시설이 가능했고, 관련 법에 따라 복원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산림청은 도가 2023년까지 연장 신청한 알파인센터 부지 사용 허가를 반려하고 1월 2일 '전면복구' 이행 명령을 내린 상태다.

복구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을 예고해 불법 시설물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지역주민들과 자치단체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정선지역 161개 사회단체는 정선 알파인경기장 철거반대범군민투쟁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존치 이외 조정안은 수용할 수 없다며 복원 강행 시 대정부 투쟁을 선언했다.

급기야 최문순 지사는 강원도의회,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과 함께 관련 주체가 참여하는 '사회적 합의 기구 구성'을 제안, 지난달 31일 국무조정실 주재로 1차 회의를 하고 기구구성안과 성격 및 앞으로 방향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앞으로 진행될 후속 회의에서 난관이 예상된다.

기구명칭을 비롯해 내외부 위원 구성, 의결 또는 자문기구 역할 규정 등 각 기관 간 입장과 요구가 접점을 찾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평창올림픽 1년] ③올림픽 유산 경기장 시설 활용 여전히 숙제



◇ 전문 체육시설 기념재단 설립·관리…운영방식·지원 규모 결정 용역 촉각

올림픽 경기장 13개 가운데 9개는 관리 주체와 사후활용 방안이 확정됐다.

신축 경기장 7개 중 강릉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등 일반인 이용이 어려운 3개 전문 체육시설은 사후활용 방안이 없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림픽 기념재단을 설립해 이들 시설을 관리할 방침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연구 용역을 맡긴 상태다.

6월께 나오는 용역 결과에 따라 운영방식과 지원 규모·방식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국비 지원방식이 도가 요구한 운영비 적자분이 아닌 국가대표 훈련 등 시설 사용료 개념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조적 예산 지원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도는 순수 운영비 부족분 몫에 대한 국비 지원을 관철하지 못하면 사후활용 해법 마련은 한시적인 처방에 불과하다고 우려하고 있다.

올해 국비 지원이 불발되면서 경기장 운영비 적자분 40억5천300만원이 도비로 지원, 강원도개발공사가 당분간 위탁 관리한다.

올림픽 경기장 시설에 대해 국가 지원을 담보토록 하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이 통과된다면 사후활용 문제는 쉽게 풀릴 수 있으나 3년 가까이 표류 중이다.

도는 상반기 출범할 올림픽기념재단을 통해 이를 풀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재단은 평창조직위 해산 후 최종 정산된 잉여금이 투입돼 설립될 예정이다.

도는 재단을 통해 레거시 사업은 물론 경기장 사후활용까지 올림픽 현안의 컨트롤 타워가 돼 사후활용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평창올림픽 1년] ③올림픽 유산 경기장 시설 활용 여전히 숙제

◇ 올림픽 상징 시설 사후활용안 잠정 확정

경기장 시설 이외 올림픽 상징건물이나 부대시설 사후활용안은 잠정 확정됐다.

올림픽 레거시와 선수 육성 등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평창올림픽 상징건물인 조직위 주사무소 건물은 리모델링해 대한체육회의 동계스포츠 종목 훈련센터로 활용된다.

국제방송센터(IBC)는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문헌보존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상반기 출범이 예정된 평창올림픽기념재단을 평창에 두겠다는 계획을 최근 확정 발표했다.

평창올림픽을 상징하는 2개 대표 건물 사후활용안이 최종 확정되면 도는 강원도개발공사 소유 토지를 각 기관에 제공하고, 강원도개발공사에는 도유지를 현물출자 할 계획이다.

최문순 지사는 "조직위원회 잉여금 619억원을 종잣돈으로 1천억원 규모의 올림픽기념재단이 설립되면 사후활용 현안이 조기 해결되고 영구적인 법적 제도적 조치가 마무리될 것"이라며 "남은 문제는 알파인경기장 사후활용이나 여러 이해관계자가 모여 사회적 합의를 이루고 그 결과는 책임지고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신고를 접수하시겠습니까?

이전검색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