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최문순 "올림픽 시설 활용, 국민 부담 가장 적은 방식으로"(종합)

일병 news1

조회 487

추천 0

2019.02.07 (목) 13:45

                           


최문순 "올림픽 시설 활용, 국민 부담 가장 적은 방식으로"(종합)

"평창 1주년 기념행사에 북한 참여는 불발"





최문순 올림픽 시설 활용, 국민 부담 가장 적은 방식으로(종합)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시설 활용 방안과 관련해 "이른 시일 내에 국민 부담이 가장 적은 방식으로 의사 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지사는 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1주년 기념행사인 '어게인(Again) 평창' 설명회를 열고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이 아직 완성되지 못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림픽 개막 1주년을 앞둔 지금 올림픽 경기장 13개 중 9개는 관리 주체와 사후활용 방안이 확정됐지만 신축 경기장 7개 중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등은 아직 활용 방안이 확정되지 않았다.

최 지사는 "(3개) 올림픽 시설과 관련해 주체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평창동계올림픽 기념재단이 설립되면 시설이 기념재단으로 귀속돼 책임지고 운영하는 주체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와 도, 시군에서 이사를 파견해서 이사진이 책임지고 경기장을 운영하게 된다"며 "아마 재단에서 시설들을 직접 운영하기는 힘들어서 (종목별) 연맹으로 위탁하게 되지 않을까 한다"고 덧붙였다.

최 지사는 "슬라이딩 센터 일부는 대표팀 훈련에 활용하고 훈련비를 받고, 나머지 시설은 상업적 이용을 하는 방법이 있다"며 "국민의 세금이 가장 적게 들어가는 방식으로 운영계획을 짜서 확정하겠다"고 약속했다.

최문순 올림픽 시설 활용, 국민 부담 가장 적은 방식으로(종합)

상반기 중 설립 예정인 평창올림픽 기념재단은 곧 해산할 조직위원회의 대회 잉여금 619억원을 기반으로 정부와 도 등이 추가로 출연해 총 1천억원 규모로 출발할 예정이다.

최 지사는 "아직 (출연) 액수는 결정 못 했지만 문화체육관광부가 강원도보다 조금 더 내게 된다"며 "강원도에서 낼 금액은 150억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설 존치와 가리왕산 생태복원 사이에서 첨예하게 대립 중인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센터와 관련해서는 "사회적 합의기구를 만들기 위한 실무조정위원회가 오늘 두 번째로 열린다"며 "합의기구를 통해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올림픽 당시 최 지사는 시설 사후활용 방안의 하나로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 유치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최 지사는 "현재 유치 신청서를 대한체육회에 제출한 상태"라며 "다만 유엔 제재와 관련된 문제들이 걸려있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 제재 완화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원도는 평창올림픽 1주년을 맞이해 7일부터 17일까지 평창과 강릉 등지에서 기념식과 문화공연, 평화포럼 등으로 이뤄진 '어게인 평창' 행사를 마련한다.

당초 강원도는 '평화와 번영'의 메시지를 담은 이번 행사에 북한의 참가도 추진했으나 불발됐다.

최 지사는 "북한 체육상을 포함한 대표단과 선수단, 예술단을 초청했는데 남북·북미 관계가 다소 소강상태라 참가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올해는 북한 참가가 무산됐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신고를 접수하시겠습니까?

이전검색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