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

[FIBA WC] 홍콩 전 역대 최소 점수차, 男농구대표팀 졸전 끝에 진땀승

일병 news1

조회 2,476

추천 0

2018.07.01 (일) 22:44

                           

[FIBA WC] 홍콩 전 역대 최소 점수차, 男농구대표팀 졸전 끝에 진땀승



[점프볼=민준구 기자] 허재 감독이 이끄는 남자농구 대표팀이 A조 2위에 오르며 1라운드를 마쳤다. 그러나 역대 홍콩 전 최소 점수차로 승리하는 등 최악의 경기력을 펼쳤다.

남자농구 대표팀은 1일 홍콩 소우론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9 국제농구연맹(FIBA) 중국농구월드컵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 1라운드 최종전 홍콩과의 경기에서 104-91로 승리했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부진한 가운데 리카르도 라틀리프(43득점 18리바운드 5어시스트) 만큼은 빛났다. 이정현(19득점 5어시스트)과 허훈(16득점 3어시스트) 역시 대표팀의 공격에 큰 몫을 해냈다.

그러나 홍콩의 분전 역시 대단했다. 지난 1R 첫 맞대결에서 23득점 5리바운드를 기록한 리 기(28득점 2어시스트)가 또 한 번 3점쇼를 선보이며 대표팀의 외곽 수비를 무너뜨렸다. 던컨 리드의 불참으로 골밑의 열세를 보여 패했지만, 경기 내용에선 전혀 밀리지 않았다. 이번 월드컵 예선에서 한 경기 최다 점수가 74점이었던 홍콩은 이날 91점을 올리며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대표팀의 역대 홍콩 전 최소 점수차는 15점(1960년 아시아농구선수권)이었지만, 이번 경기로 기록이 경신됐다.

비록 진땀승이었지만, 대표팀은 이날 승리로 A조 2위에 올랐다. 앞서 열린 A조 경기에서 뉴질랜드가 중국을 67-57로 꺾으며 1위를 확정지은 가운데 중국은 3승에 그치며 4승의 대표팀에 2위 자리를 내줬다.

라틀리프의 안정적인 골밑 득점과 이정현, 이대성의 외곽슛으로 공격을 풀어나간 대표팀은 경기 초반, 점수차를 벌리며 좋은 출발을 보였다. 홍콩의 반격도 매서웠다. 리 기가 3점슛 4개를 터뜨리며 간담을 서늘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대표팀은 여유를 잃지 않았다. 강상재와 허훈을 투입하며 원활한 로테이션을 선보이며 1쿼터를 30-21로 마쳤다.

예상외로 대등한 승부를 이어간 홍콩은 2쿼터 역시 대표팀을 철저히 압박했다. 리안 만헝을 앞세워 빠른 공수전환을 펼치며 대표팀의 느린 수비를 공략했다. 라틀리프가 골밑에서 득점을 만들어내며 점수차를 유지했지만, 34-31까지 쫓기며 위기를 맞이했다.

뒤늦게 투입된 최준용은 라틀리프와 함께 대표팀의 속공을 진두지휘했다. 포인트 포워드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며 다시 격차를 벌렸다. 허웅까지 3점포로 기대에 부응한 대표팀은 42-31, 다시 두 자릿수 점수차를 만들었다.

최준용의 쇼타임은 2쿼터 내내 이어졌다. 환상적인 노룩 패스, 컷 인 플레이로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펼쳤다. 홍콩은 리 기의 3점슛으로 응수했지만, 페인트 존에서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했다. 2쿼터 역시 대표팀의 54-45 리드로 마쳤다.

3쿼터 초반, 홍콩의 공세에 밀린 대표팀은 51-56까지 추격당했다. 라틀리프가 일대일 공격으로 득점을 만들어 내 역전까지 허용하지는 않았다. 홍콩에 오픈 찬스를 계속 내주며 위기를 맞이한 대표팀은 차이 최관에게 3점슛을 내주며 62-60, 역전까지 당했다.

대표팀은 지역방어를 계속 이어갔지만, 홍콩의 3점슛에 무너지는 모습을 연출했다. 라틀리프의 득점이 아니었다면 점수차가 벌어질 분위기가 이어졌다. 허훈의 투지 있는 돌파로 다시 기세를 높은 대표팀은 3쿼터를 78-71로 마친 채, 4쿼터를 바라봤다.

라틀리프의 골밑 득점으로 다시 점수차를 벌린 대표팀은 다시 두 자릿수 격차를 만들어내며 승기를 가졌다. 리 기의 3점슛을 막아내지 못했지만, 골밑의 우위를 이용하며 확률 높은 농구를 펼쳤다. 이승현과 정효근의 득점까지 더한 상황, 대표팀은 허훈과 라틀리프의 좋은 협력 플레이로 승리를 지켜냈다.

▲ 역대 홍콩 전 전적

아시아선수권대회

2007년_ 40점차, 107-67, 승

1986년_ 55점차, 113-58, 승

1983년_ 20점차, 116-96, 승

1977년_ 66점차, 128-62, 승

1973년_ 58점차, 126-68, 승

1971년_ 74점차, 125-51, 승

1969년_ 74점차, 112-38, 승

1967년_ 40점차, 86-46, 승

1965년_ 36점차, 85-49, 승

1963년_ 29점차, 90-61, 승

1960년_ 15점차, 93-78, 승

FIBA 월드컵 예선

2018년_ 21점차, 93-72, 승

2018년_ 13점차, 104-91, 승

아시안게임

1962년_ 18점차, 90-72, 승

1970년_ 65점차, 116-51, 승

1986년_ 58점차, 110-52, 승

2002년_ 43점차, 101-58, 승

# 사진_중국선전/한필상 기자



  2018-07-01   민준구([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점프볼.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신고를 접수하시겠습니까?

이전검색